반응형

서버는 IT 분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볼수 있다. 서버는 IT가 시작하면서 부터 시작해왔으며 지금 이순간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이 되고 있습니다. 필자는 현재가지 다양한 서버를 경험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버 시스템을 비롯하여 인프라 구축 기술에 대해 서술하고자 합니다.

 

과거에는 메인프레임을 기반으로 한 SUN(UNIX)서버가 메인을 이뤘다. 물론 지금도 금융권을 비롯한 몇몇 업체에서는 SUN(UNIX)서버를 사용합니다. 장점으로는 막강한 안정성과 컴퓨팅 파워를 갖고 있지만 단점으로는 막대한 비용과 낮은 호환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X86 서버가 시장에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X86서버는 기존의 SUN(UNIX)서버와는 달리 운영체제도 Window, Linux 등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UNIX 서버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서버 시장에 나오게 되었습니다. 또한 기존 UNIX 서버는 SUN업체에서 독점으로 생산했지만 X86서버는 Dell, HP, Quanta 등 수많은 업체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서버 사용자에 선택권 또한 높습니다.

 

 

 

다시말해 UNIX 서버는 Scale-UP 방식, X86 서버는 Scale-Out 방식으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X86서버는 Cloud 시스템과 SNS 시장이 확대되고 데이터양이 급증하면서 Scale-UP 방식으로 기존의 서버개발 업체들이 시스템의 한계를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다소 안정성과 컴퓨팅 파워는 떨어지더라도 Scale-Out 방식으로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을 선택하면서 시스템의 개발을 하게 되었습니다. Facebook이나 Google 같은 경우도 이런방법으로 서버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엄청난 IDC를 구축하게 되었으며 국내에도 이미 여러개의 IDC가 존재합니다.

 

한편, 홈 서버에서는 ARM의 성장세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앞서 이야기했던 서버 시스템의 공통적인 단점으로 엄청난 전력소모가 있는데 홈 서버에는 그런 막강한 컴퓨팅 능력을 보유한 서버가 필요없으며 보다 저렴하고 작고 전력 서버소모량도 작은 서버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요구사항에 의해 만들어진 서버가 ARM 서버입니다. 최초 ARM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AP로 사용되었습니다. ARM은 기존의 CPU보다 컴퓨팅 능력은 많이 떨어지지만 작은 발열과 전기소모로 스마트폰에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ARM의 개발이 진행이 됨과 동시에 컴퓨팅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많은 서버 업체에서 ARM에 주목하기 시작하게 되었고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교육용 ARM 보드를 많은 사람들이 서버에 활용하면서 부터 서버로서의 가능성을 보고 많은 업체들이 개발중에 있습니다.

 

IT 분야에있어 서버는 척추와 같은 역활을 하며 지금과 같은 Cloud 시스템과 SNS의 확대를 가만했을때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4차산업혁명이 이야기가 나오는 이때 어떻게 또 어떤 주인공이 서버의 자리를 차지할지는 모르지만 앞으로도 서버 분야는 많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반응형

'인프라 구축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P (Virtual IP)란 ??  (0) 2017.12.06
RAID 와 HBA 카드 (2)  (0) 2017.11.13
RAID 와 HBA 카드 (1)  (0) 2017.11.07
메모리의 종류 (UDIMM, RDIMM, RLDIMM, NVDIMM)  (0) 2017.10.23
Xeon(제온) CPU는 ??  (0) 2017.10.21

+ Recent posts